맨위로가기

캐슬바니아 III: 드라큘라의 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슬바니아 III: 드라큘라의 저주는 1989년 코나미에서 발매된 패밀리 컴퓨터용 액션 플랫폼 게임이다. 전작의 액션 어드벤처 및 롤플레잉 요소를 버리고 전작의 플랫폼 게임 방식으로 회귀했으며, 비선형 게임플레이를 채택하여 여러 분기점을 통해 다양한 스테이지를 경험할 수 있다. 주인공 트레버 벨몬트를 비롯하여, 사이파 벨나데스, 그란트 다나스티, 알루카드 등 동료 캐릭터를 선택하여 플레이할 수 있으며, 각 캐릭터는 고유한 능력과 무기를 가지고 있다. 게임은 16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VRC VI 칩을 사용하여 뛰어난 그래픽과 사운드를 구현했다. 일본판과 북미/유럽판 간에는 그래픽, 사운드, 난이도 등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게임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역대 게임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세기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유로파 유니버설리스 4
    유로파 유니버설리스 4는 1444년부터 1821년까지의 세계를 배경으로 500개 이상의 국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군사, 외교, 경제 전략을 통해 국가를 번영시키고 세계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대전략 샌드박스 게임이다.
  • 15세기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어쌔신 크리드 II
    《어쌔신 크리드 II》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에치오 아우디토레 다 피렌체의 복수와 성장을 그린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전작의 시스템을 계승하고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여 자유도를 높였으며 다양한 콘텐츠와 역사적 인물 및 장소를 특징으로 한다.
  • 캐슬바니아 - 캐슬바니아: 오더 오브 에클레시아
    《캐슬바니아: 오더 오브 에클레시아》는 코나미에서 2008년 발매한 닌텐도 DS용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벨몬드 가문이 사라진 후 드라큘라의 부활에 대항하는 에클레시아의 전사 샤노아가 '글리프'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공격과 능력을 사용하며 숲, 산, 바다 등 다양한 지역을 탐험하고 사이드 퀘스트를 수행하며 스토리를 진행하며, 닌텐도 Wi-Fi 커넥션을 통한 온라인 플레이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 캐슬바니아 - 캐슬바니아 저지먼트
    캐슬바니아 저지먼트는 코나미에서 2008년 Wii 플랫폼으로 발매한 3D 대전 액션 게임으로, 캐슬바니아 시리즈 캐릭터들이 시간의 틈새에서 전투를 벌이며, Wii 리모컨과 눈차크를 이용한 모션 센싱 컨트롤, 만화가 오바타 타케시의 캐릭터 디자인이 특징이지만 조작감과 카메라 워크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 1989년 비디오 게임 - 지뢰 찾기
    지뢰 찾기는 격자 형태 지뢰밭에서 지뢰를 피해 안전한 칸을 모두 여는 퍼즐 비디오 게임으로, 칸을 열어 지뢰 유무를 확인하며, 윈도우 탑재를 통해 대중화되었고 NP-완전 문제로 분류된다.
  • 1989년 비디오 게임 - 데빌맨
    인간의 마음을 가진 악마 데빌맨의 이야기를 그린 나가이 고의 만화 시리즈는 평범한 소년 후도 아키라가 악마 아몬과 합체하여 지구를 침략하려는 악마에 맞서 싸우는 내용으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캐슬바니아 III: 드라큘라의 저주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북미 박스 아트
북미 박스 아트
원제 (일본어)악마성전설 (Akumajō Densetsu)
시리즈캐슬바니아
개발
개발사코나미
유통
배급사코나미
유럽 배급사Palcom
제작
디렉터아카마츠 히토시
디자이너I. Urata
아티스트토가쿠시 노리야스
후지모토 타케시
I. Urata
프로그래머오쿠다 야스오
타케모토 미츠오
작곡가마에자와 히데노리
후나하시 준
모리모토 유키에
사사키 요시노리 (유럽/미국판)
출시
일본 출시일1989년 12월 22일
북미 출시일1990년 9월
유럽 출시일1992년 12월 10일
PC (Windows) 출시일 (일본)2006년
i-모드 출시일 (일본)2006년 8월 1일
Wii 버추얼 콘솔 출시일유럽: 2008년 10월 31일
북미: 2009년 1월 12일
일본: 2009년 4월 21일
Wii U 버추얼 콘솔 출시일일본: 2014년 4월 16일
북미: 2014년 6월 26일
유럽: 2014년 9월 4일
닌텐도 3DS 버추얼 콘솔 출시일유럽: 2014년 4월 17일
북미: 2014년 6월 26일
장르
장르액션
플랫폼
모드싱글 플레이어
플랫폼
플랫폼패밀리 컴퓨터
기타 플랫폼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휴대 전화i-모드
Wii버추얼 콘솔
Wii U 버추얼 콘솔
닌텐도 3DS버추얼 콘솔
기타 정보
미디어3 메가비트 ROM + 64 킬로비트 RAM 카트리지
CERO 등급A (전체 이용가)
ESRB 등급E (모두) - 판타지 폭력
PEGI 등급7 - 폭력
판매량일본: 약 37만 장
미국: 약 40만 장
전세계: 약 85만 장
제품 코드일본: RC845
미국: NES-VN-USA
유럽: NES-VN-UKV

2. 게임플레이

플레이어는 게임 진행 중 여러 지점에서 두 갈래 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캐슬바니아 III: 드라큘라의 저주''는 전작인 ''캐슬바니아 II: 시몬의 퀘스트''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롤플레잉 비디오 게임 요소를 버리고 첫 번째 ''캐슬바니아'' 타이틀의 플랫폼 게임 방식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캐슬바니아''와 달리 ''캐슬바니아 III''는 비선형 게임플레이를 특징으로 한다. 첫 번째 레벨을 완료한 후, 그리고 게임 전체에서 여러 지점에서 플레이어는 따라갈 두 개의 분기 경로를 선택해야 한다. 플레이어가 게임 전체에서 내린 선택에 따라 다중 엔딩을 볼 수 있다.

게임에는 총 16개의 스테이지가 있으며, 이는 블록으로 불리는 여러 구역으로 나뉜다. 게임에는 두 개의 주요 경로가 존재한다. 주요 분기는 세 번째 스테이지 중간 지점에서 발생한다. 각 경로는 총 9개의 스테이지를 포함한다(플레이어가 선택적 두 번째 스테이지를 선택하는 경우 10개). 상위 경로는 플레이어가 호수를 건너 주요 다리로 이동하여 정문을 통해 드라큘라 성에 들어가는 반면, 하위 경로는 플레이어가 일련의 터널과 동굴을 통과하여 성 아래의 절벽을 올라가게 한다. 하위 경로는 또한 스테이지 6에서 자체적으로 짧은 분기 섹션을 특징으로 한다. 두 경로는 성의 주요 홀에서 합류한다.

게임 시스템은 시리즈 제1작 『악마성 드라큘라』 (1986년)와 같은 스테이지 클리어형 액션으로 돌아왔다. 앞선 두 작품이 디스크 시스템 전용이었던 것과 달리, 본작은 최초의 패미컴 본체용 카트리지로 발매되었다. 이로 인해 세이브 기능이 없어지고, 비밀번호·컨티뉴 방식이 적용되었다. 본작의 새로운 특징으로는 스테이지 분기 선택과 함께, 게임 진행 중 만나는 동료 캐릭터로 교체하여 플레이할 수 있는 파트너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파트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 참고)

개발은 코나미 고베 본사(당시)에서 진행했으며, 제1작부터 아카마츠 히토시 디렉터가 담당했다.[33] 음악은 후나바시 준, 마에자와 히데노리, 모리모토 사치에가 맡았다. 카트리지 내에는 코나미가 개발한 특수 칩 VRC VI가 탑재되어, 당시 패미컴으로서는 뛰어난 그래픽과 음악 품질을 보여주었다. 또한 게임 밸런스와 적의 움직임 패턴이 잘 조절되어 단순한 암기 게임이 아닌, 플레이 숙달을 실감할 수 있는 완성도를 갖추었다는 평가를 받았다.[34] 게임 잡지 『패미컴 통신』의 크로스 리뷰에서는 실버 전당을 획득했다.[35]

2. 1. 파트너 플레이어

전작인 ''캐슬바니아 II: 시몬의 퀘스트''와 달리, ''캐슬바니아 III''는 첫 번째 ''캐슬바니아''의 플랫폼 게임 방식으로 회귀하면서도, 새롭게 파트너 시스템을 도입했다.[34] 게임 진행 중 특정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루트 선택에 따라 세 명의 동료 캐릭터(사이파 벨나데스, 그란트 다나스티, 알루카드) 중 한 명을 만나 파트너로 삼을 수 있다.

파트너가 있으면 플레이 도중 SELECT 버튼을 눌러 주인공 트레버 벨몬트와 파트너 캐릭터를 언제든지 교체하며 플레이할 수 있다. 단, 한 번에 한 명의 파트너만 동행할 수 있으며, 새로운 동료를 맞이하면 기존의 파트너와는 헤어지게 된다(어떤 동료와 헤어질지는 진행 루트에 따라 고정된다). 체력은 트레버와 파트너가 공유한다. 물론, 파트너 없이 트레버 혼자서 게임을 클리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파트너는 고유한 능력(벽 타기, 비행 등)과 공격 방식을 가지고 있어, 이를 활용하면 스테이지의 특정 구간을 쉽게 통과하거나 트레버 혼자서는 얻을 수 없는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어떤 파트너를 선택하는지(또는 어떤 스테이지 루트를 선택하는지)는 게임의 난이도와 전략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 파트너 시스템은 다중 엔딩과 연결되어 있다. 게임 클리어 시점에 어떤 파트너와 함께 있었는지(혹은 트레버 혼자였는지)에 따라 총 4가지 종류의 다른 에필로그를 볼 수 있다.

게임을 클리어하고 2회차 플레이를 시작하면, 1회차 클리어 시 함께했던 파트너가 처음부터 동료인 상태로 시작되며, 파트너 선택 이벤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2. 1. 1. 랄프 C. 벨몬드 (트레버 벨몬트)

본작의 주인공으로, 일본판에서는 ラルフ・C・ベルモンド|랄프 C. 벨몬도일본어, 북미판에서는 Trevor Belmont|트레버 벨몬트영어라는 이름을 가진다. 《캐슬바니아 I》의 주인공 시몬 벨몬드의 선조이다.

벨몬트 가문은 대대로 뱀파이어 사냥꾼으로 활동해 왔으나, 인간을 초월하는 "초인적인" 힘 때문에 사람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 되어 왈라키아에서 추방당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1476년, 드라큘라 백작이 몬스터 군대를 이끌고 유럽을 침략하자, 가톨릭교회는 드라큘라를 막기 위해 이전에 파문했던 벨몬트 가문에 도움을 요청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트레버는 가문의 상징인 뱀파이어 킬러 채찍을 들고 드라큘라 토벌 임무에 나서게 된다. 채찍 외에도 다양한 서브 웨폰을 활용하여 전투를 수행한다.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트레버는 세 명의 동료를 만날 수 있다. 강력한 원소 마법을 사용하는 어린 마법사 시파 벨나데스, 벽을 기어오를 수 있는 해적 그란트 다나스티, 그리고 드라큘라의 아들이자 담피어인 알루카드가 그들이다.[34] 플레이어는 이들 중 한 명을 선택하여 동료로 삼을 수 있으며, 동료가 있으면 SELECT 버튼을 눌러 트레버와 동료 캐릭터를 교체하며 플레이할 수 있다. 단, 한 번에 한 명의 동료만 동행할 수 있으며, 새로운 동료를 맞이하면 기존 동료와는 헤어지게 된다. 라이프 포인트와 하트 개수는 트레버와 동료가 공유한다.[34] 어떤 동료와 함께 게임을 클리어했는지, 혹은 혼자서 클리어했는지에 따라 엔딩 내용이 달라지는 멀티 엔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2. 1. 2. 사이파 벨나데스

사이파 벨나데스(Sypha Belnades)는 캐슬바니아 III: 드라큘라의 저주에서 트레버 벨몬트가 만날 수 있는 세 명의 동료 중 한 명이다.[34] 그녀는 물리 공격력은 약하지만 강력한 원소 마법을 사용하는 어린 마법사로 묘사된다.

플레이어는 게임 진행 중 특정 스테이지 루트를 선택하면 사이파를 동료로 맞이할 수 있다. 사이파는 상 루트의 스테이지 3 후반, 숲 심부(BGM: Mad Forest)에서 등장한다. 트레버는 한 번에 한 명의 동료만 데리고 다닐 수 있으며, 새로운 동료를 맞이하면 기존 동료와는 헤어지게 된다. 플레이 중 SELECT 버튼을 눌러 트레버와 사이파 사이를 전환하여 조작할 수 있으며, 체력 게이지와 하트 카운터는 두 캐릭터가 공유한다.[34]

어떤 동료와 함께 게임을 클리어하는지에 따라 엔딩 내용이 달라지므로, 사이파를 동료로 선택하여 진행하면 고유한 엔딩을 볼 수 있다.

2. 1. 3. 그란트 다나스티

그란트 다나스티는 트레버 벨몬트가 모험 중에 만날 수 있는 세 명의 동료 중 한 명으로, 해적이다.[34] 그는 벽을 기어오르거나 점프 중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특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능력은 스테이지 진행을 단축하거나, 트레버 벨몬트 혼자서는 얻기 어려운 아이템을 획득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란트는 스테이지 2인 시계탑에서 만날 수 있다. 동료가 되면 SELECT 버튼을 눌러 트레버와 플레이어 캐릭터를 교체할 수 있으며, 체력 게이지와 하트 개수는 공유한다.

그란트의 서브 웨폰은 도끼이다. 도끼는 비스듬히 위쪽 방향으로 던져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 적을 관통한다. 그란트로 플레이할 때는 회중 시계를 제외한 대부분의 서브 웨폰 아이템이 도끼로 바뀐다. 또한, 서브 웨폰을 2번 연속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2연사' 아이템이 등장한다. 모든 캐릭터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중 시계도 사용 가능하다.

2. 1. 4. 알루카드 (아드리안 파렌하이트 체페슈)

알루카드는 드라큘라 백작의 아들이자 담피어이다. 그는 아버지의 악행에 반대하여 인간인 주인공 트레버 벨몬트를 돕는 동료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알루카드는 입에서 불덩이를 발사하여 원거리 공격을 할 수 있다. 또한 고유 능력으로 박쥐로 변신하여 일정 시간 동안 자유롭게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다.[34] 이 박쥐 변신 능력은 일반적인 점프로는 도달할 수 없는 높은 곳으로 이동하거나 위험한 지형을 안전하게 통과하는 데 유용하며, 이를 통해 스테이지의 특정 구간을 건너뛰거나 숨겨진 아이템을 얻는 등 전략적인 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34]

플레이어는 게임 진행 중 특정 경로를 통해 알루카드를 만나 동료로 삼을 수 있다. 동료가 된 후에는 SELECT 버튼을 눌러 언제든지 트레버 벨몬트와 알루카드를 교체하며 조작할 수 있다.[34] 단, 파트너는 한 번에 한 명만 동행할 수 있으므로, 다른 동료를 영입하면 기존의 동료와는 헤어지게 된다.[34] 트레버와 알루카드는 체력 게이지와 서브 웨폰 사용 횟수를 나타내는 하트를 공유한다.

알루카드는 필드에 나타나는 파워업 아이템을 통해 주 무기인 불덩이를 최대 2단계까지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캐릭터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브 웨폰인 회중 시계를 사용하여 잠시 동안 화면 내 적들의 움직임을 멈출 수 있다. 게임의 엔딩은 마지막에 어떤 동료와 함께 드라큘라를 물리쳤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알루카드와 함께 클리어했을 경우 그에 맞는 에필로그가 나온다.[34]

3. 줄거리

1476년, 드라큘라 백작이 몬스터 군대를 이끌고 유럽을 침략하기 시작한다. 이는 《캐슬바니아 I》보다 앞선 시대를 다루는 프리퀄에 해당한다. 왈라키아 공국의 가톨릭 교회는 드라큘라를 막기 위해, 과거 "초인적인" 힘을 두려워하여 추방했던 벨몬트 가문을 다시 부른다.

이에 벨몬트 가문의 트레버 벨몬트가 가문의 뱀파이어 킬러 채찍을 들고 드라큘라 토벌 임무를 맡게 된다.

트레버는 여정 중에 세 명의 잠재적인 동료를 만나게 된다. 강력한 원소 마법을 사용하는 어린 마법사 시파 벨나데스, 벽을 타거나 점프 중 방향 전환이 가능한 해적 그란트 다나스티, 그리고 불덩이를 쏘고 박쥐로 변신할 수 있는 담피어이자 드라큘라의 아들인 알루카드이다. 트레버는 이들 중 한 명과 동행하여 드라큘라를 물리치고 왈라키아 땅을 구원하기 위한 싸움에 나선다.

4. 개발

이 게임은 코나미 고베 본사에서 개발되었으며, 시리즈 첫 작품부터 참여했던 아카마츠 히토시가 디렉터를 맡았다.[34] 이전 두 작품은 디스크 시스템 전용이었으나, 이 게임은 시리즈 최초로 패미컴 본체용 롬 카트리지로 출시되었다. 이로 인해 세이브 기능 대신 비밀번호·컨티뉴 방식이 도입되었다.

게임 시스템은 전작 『드라큘라 II 저주의 봉인』의 액션 RPG 방식에서 다시 시리즈 첫 작품 『악마성 드라큘라』와 같은 스테이지 클리어형 액션 게임 방식으로 회귀했다.[33] 여기에 스테이지 분기 시스템과 파트너 시스템이 새롭게 도입되어, 플레이 중 동료 캐릭터로 교체하며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스토리는 『악마성 드라큘라』 시점보다 100년 전을 다루며, 주인공 랄프 C. 벨몬드가 드라큘라와의 싸움을 시작하는 기원을 그린다.[33]

기술적으로는 일본판 롬 카세트 내부에 코나미가 자체 개발한 특수 칩 VRC VI를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게임의 오디오 프로그래머인 마에자와 히데노리가 제작에 참여한 이 칩은[2] 패미컴의 성능을 확장하여 당시로서는 뛰어난 품질의 그래픽과 음악을 구현할 수 있게 했다.[34] 하지만 해외판 NES는 이러한 외부 칩을 지원하지 않아 북미 및 유럽판에서는 다른 칩(MMC5)을 사용하고 음악을 NES 표준 사운드 채널에 맞게 재편곡해야 했다.[2][3] 이러한 기술적 차이 외에도 일본판과 북미/유럽판은 게임 내용, 난이도 등에서 여러 차이가 존재한다.[4]

이 게임은 1989년 12월 22일 일본에서 "악마성 전설"(悪魔城伝説일본어)이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시되었고, 이후 1990년 9월 1일 북미, 1992년 12월 10일 유럽에 발매되었다.[5] 북미판 패키지 아트는 레이 해리하우젠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톰 드부아가 그렸다.[6][7] 이후 Wii, 닌텐도 3DS, Wii U버추얼 콘솔로 재발매되었으며,[13][8][9][10][11][12] 2019년에는 닌텐도 스위치, 플레이스테이션 4, 윈도우, Xbox One용으로 출시된 ''캐슬바니아 애니버서리 컬렉션''에 포함되었다.[14]

게임 잡지 『패미컴 통신』의 크로스 리뷰에서는 실버 전당을 획득했다.[35]

'''주요 개발진'''
역할이름
디렉터H.Akamatsu (아카마츠 히토시)
플래너I.Urata
프로그래머H.Akamatsu, M.Takemoto (타케모토 미츠오), Y.Okuda (오쿠다 야스오), S.Kitamoto (키타모토 신지)
캐릭터 디자인I.Urata, T.Fujimoto (후지모토 타케시), N.Togakushi (토가쿠시 노리야스), K.Ogawa (오가와 코이치)
사운드H.Maezawa (마에자와 히데노리), J.Funahashi (후나하시 쥰), Y.Morimoto (모리모토 유키에), 사사키 요시노리 (북미/유럽판 편곡)


4. 1. 일본판과 북미/유럽판의 차이점

일본판은 "악마성 전설"이라는 제목으로 출시되었으며, 북미 및 유럽판과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사운드 칩이다. 일본판 패미컴 카트리지에는 특수한 VRC6 보조 프로세서 칩이 탑재되었다. 이 칩은 게임의 오디오 프로그래머인 마에자와 히데노리가 제작에 참여했으며, 패미컴의 기본 5개 사운드 채널에 추가로 2개의 펄스파 채널과 1개의 톱니파 채널을 더해 총 8개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이를 통해 풍부한 사운드, 특히 신시사이저 스트링 섹션과 유사한 소리를 구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서양판 NES는 이러한 외부 사운드 칩을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북미 및 유럽판에서는 VRC6 칩 대신 닌텐도의 MMC5 칩을 사용했다.[2] 이로 인해 게임 음악은 사사키 요시노리에 의해 NES의 표준 5개 채널에 맞게 다시 편곡되어야 했다. 일본판의 오리지널 패미컴 음원은 ''악마성 드라큘라 패미컴 베스트'' 사운드트랙 앨범에 수록되었다.[3]

게임 플레이와 그래픽에서도 차이가 있다. 일본판에서는 동료 캐릭터 그란트 다나스티가 칼을 찌르는 대신 던지는 방식으로 공격한다. 또한 일부 적들은 일본판에서 플레이어에게 입히는 데미지가 더 적으며, 북미 및 유럽판에서는 일부 적 캐릭터의 스프라이트(그래픽 표현)가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일부 여성형 적의 노출이 줄어드는 등 검열이 이루어졌고, 종교적인 상징물 표현도 축소되었다. 배경 그래픽 역시 차이가 있는데, 일본판은 많은 스테이지에서 약간 다른 배경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북미 및 유럽판에서는 볼 수 없는 특수 효과가 사용되기도 했다.[4]

북미 및 PAL 버전에는 일본판에는 없는 숨겨진 기능들이 존재한다. 플레이어 이름을 특정 단어로 입력하면 이러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름을 "HELP ME"로 입력하면 10개의 목숨을 가지고 게임을 시작할 수 있으며, 처음부터 세 명의 동료 중 한 명을 선택하여 플레이하거나, 더 어려운 두 번째 퀘스트 난이도에 접근하는 기능 등이 포함된다.[4]

5. 평가

일본 게임 잡지 패미통은 40점 만점에 30점을 부여하며 실버 전당에 올렸다.[47][35] 패미통은 첫 번째 게임의 형식으로 회귀한 점, 새로운 동료 시스템, 향상된 사운드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과도하게 높은 난이도는 단점으로 지적했다.[17] 북미 잡지 닌텐도 파워는 이전 시리즈보다 크게 개선되었다고 평가하며, 패미컴 최고의 게임 목록 9위에 선정했다.[48][19]

1997년 일렉트로닉 게이밍 먼슬리는 여러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와 분기 시스템, 뛰어난 그래픽과 음악을 높이 평가하며 역대 콘솔 비디오 게임 중 57위로 선정했다.[18] 게임 인포머의 팀 투리는 캐슬바니아 II 이후 다시 본래의 형식으로 돌아온 점을 긍정적으로 보았고, 상징적인 캐릭터 알루카드와 벽 타기 능력을 가진 그랜트 등을 언급했다.[20] 게임스레이더는 역대 NES 게임 중 8위로 선정하며, 시리즈의 뿌리로 돌아가면서도 "시리즈를 새로운 경지로 끌어올렸다"고 평가했다.[21] 게임존(GameZone)은 역대 캐슬바니아 시리즈 중 3위로 선정했는데, 특히 첫 작품과 가장 유사하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주었으며, 버추얼 콘솔에서의 구매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22]

회고적 리뷰에서도 높은 평가가 이어졌다. 올게임의 크리스토퍼 마이클 베이커는 "NES를 빛낸 최고의 캐슬바니아 게임"이자 "어떤 시스템에서든 출시된 최고의 캐슬바니아 게임일지도 모른다"고 극찬하며 5점 만점에 4.5점을 주었다.[15] IGN은 역대 NES 게임 100선 중 5위로 선정했다.[23]

과거 시리즈 프로듀서였던 이가라시 코지는 뛰어난 사운드와 설정을 이유로 이 게임을 시리즈 중 가장 좋아한다고 밝혔다. 캐슬바니아: 하모니 오브 디스페어의 디렉터였던 이이다 슈타로 역시 이 게임을 최고로 꼽으며, 특히 일본판에 탑재된 특수 사운드 칩(VRC VI)을 그 이유로 언급했다.[24] 이 VRC VI 칩 덕분에 당시 패미컴 게임으로서는 그래픽과 음악의 수준이 매우 뛰어났다.[34]

6. 기타 매체

1991년에 방영된 애니메이션 《캡틴 N: 더 게임 마스터》의 에피소드 〈리턴 투 캐슬바니아〉는 이 게임에 기반하여 제작되었다.

2017년 2월, 이 게임을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시리즈 《캐슬바니아》가 발표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본래 2007년부터 작가 워런 엘리스, 프레데이터 스튜디오, 제임스 진 등이 참여하여 개발 중이던 애니메이션 영화 '드라큘라의 저주' 기획에서 출발했다.[25][49][50] 이후 영화 제작자 아디 샨카가 참여하여 애니메이션 미니 시리즈로 제작 방향이 변경되었으며,[26]티미의 못말리는 수호천사》 등을 제작한 프레드레이터 스튜디오가 제작을 담당했다.[49][50]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넷플릭스를 통해 독점 공개되었으며, 시즌별 공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시즌 1: 4개 에피소드, 2017년 7월 7일 공개[51][27]
  • 시즌 2: 8개 에피소드, 2018년 10월 26일 공개[27]
  • 시즌 3: 10개 에피소드, 2020년 3월 5일 공개[28]
  • 시즌 4 (마지막 시즌): 10개 에피소드, 2021년 5월 13일 공개[29]

7. 스테이지 구성

게임은 총 16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스테이지는 '블록'이라고 불리는 여러 구역으로 나뉜다. 게임 진행은 크게 트란실바니아 지역에서 시작하여 드라큘라 성으로 향하는 전반부와, 성 내부에 진입하여 드라큘라를 찾아 나서는 후반부로 나눌 수 있다.

이 게임의 특징적인 시스템은 비선형 게임플레이 방식으로, 플레이어는 게임 진행 중 여러 지점에서 두 갈래 길 중 하나를 선택하여 나아가야 한다. 첫 번째 스테이지를 완료한 후부터 분기점이 나타나며, 특히 스테이지 3의 중간 지점에서 경로가 크게 두 갈래(상위 경로, 하위 경로)로 나뉜다. 상위 경로는 주로 성 외부의 지상 경로를 통해 정문으로 향하고, 하위 경로는 지하 동굴이나 수로 등을 거쳐 성 아래 절벽을 오르게 된다. 스테이지 6의 하위 경로에는 짧은 추가 분기가 존재하기도 한다.

어떤 경로를 선택하든 최종 목적지인 드라큘라 백작에게 도달하기까지 총 9개의 스테이지를 거치게 되며, 초반에 선택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스테이지(동료 영입 관련)를 포함하면 최대 10개의 스테이지를 경험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진행하더라도 결국 성의 주요 홀에서 합류하여 후반부 공통 루트로 이어진다. 이러한 경로 선택과 동료 영입 여부는 게임의 다중 엔딩에 영향을 미친다.

7. 1. 전반 공통 루트



''캐슬바니아 III: 드라큘라의 저주''는 전작인 ''캐슬바니아 II: 시몬의 퀘스트''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롤플레잉 비디오 게임 요소를 버리고, 첫 번째 ''캐슬바니아''와 같은 플랫폼 게임 방식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전작과 달리 비선형 게임플레이 요소를 도입하여, 첫 번째 스테이지를 완료한 후부터 플레이어는 두 갈래의 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다.

게임 초반부에는 모든 플레이어가 동일한 경로를 거치게 된다. 첫 스테이지를 완료하면 분기점이 나타나며, 이후 게임 진행 중 여러 지점에서 경로를 선택해야 한다. 두 번째 스테이지는 선택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곳으로, 이곳에서는 주인공 트레버 벨몬트 외에 게임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세 명의 동료 중 한 명을 만날 수 있다. 세 번째 스테이지의 중간 지점에 도달하면 게임의 주요 경로가 크게 두 갈래로 나뉘게 되는데, 이 지점까지가 모든 플레이어가 공통으로 거치는 전반부 루트에 해당한다. 플레이어가 게임 전체에서 어떤 경로를 선택하고 어떤 동료와 함께하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 다중 엔딩을 볼 수 있다.

7. 2. 상 루트



''캐슬바니아 III: 드라큘라의 저주''는 비선형 게임플레이를 특징으로 하며, 플레이어는 게임 진행 중 여러 지점에서 경로를 선택해야 한다. 주요 경로는 스테이지 3의 중간 지점에서 나뉜다.

상 루트는 이 분기점에서 위쪽 경로를 선택했을 때 진행되는 경로이다. 이 루트를 통해 플레이어는 호수를 건너고 주요 다리를 통과하여 드라큘라 성의 정문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 루트와 하 루트는 성의 주요 홀에서 다시 합류한다.

7. 3. 하 루트



''캐슬바니아 III: 드라큘라의 저주''는 비선형 게임플레이를 특징으로 하며, 플레이어는 게임 진행 중 여러 지점에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주요 분기는 세 번째 스테이지 중간 지점에서 발생하며, 여기서 하 루트를 선택할 수 있다.

하 루트는 플레이어가 일련의 터널과 동굴을 통과하여 드라큘라 성 아래의 절벽을 오르는 경로이다. 상위 루트에 비해 일반적으로 더 어둡고 위험한 지역을 탐험하게 된다.

하 루트의 주요 스테이지는 다음과 같다.

  • 스테이지 4: 늪지: 험난한 늪지대를 통과해야 한다.
  • 스테이지 5: 지하도: 복잡한 지하도를 탐험하며, 이곳에서 동료가 될 수 있는 알루카드와 처음 조우하게 된다. 지하도 심부까지 진행한다.
  • 스테이지 6: 드라큘라 성 지하 수로: 성 지하의 수로를 탐험하는 스테이지이다. 이 스테이지 내에는 다시 한번 짧은 분기 경로가 존재하는데, 이 길을 선택하면 스테이지 6': 수몰 도시로 이어진다.
  • 스테이지 7: 드라큘라 성 지하: 드라큘라 성 지하의 가장 깊숙한 곳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 지하 경로를 모두 통과한 후, 하 루트는 상위 루트와 함께 성의 주요 홀에서 다시 합류하여 최종 결전을 향해 나아가게 된다.

7. 4. 후반 공통 루트

게임의 초반부에서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나뉘었던 두 개의 주요 경로(상위 경로와 하위 경로)는 드라큘라 성의 주요 홀에서 합류하게 된다.[39] 이후의 스테이지는 모든 플레이어가 공통으로 진행하게 되는 후반부 루트이다.

이 공통 루트는 스테이지 8(드라큘라 성 본관), 스테이지 9(드라큘라 성 탑 내부), 그리고 최종 스테이지인 스테이지 10(드라큘라 성 별채의 탑) 등으로 구성된다.

일본 외 지역에서 발매된 서양판 『캐슬바니아 III: 드라큘라의 저주』에서는 후반부 스테이지에서도 몇 가지 변경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스테이지 8에 등장하는 여성 조각상 그래픽에 옷이 추가되었으며,[39] 스테이지 9의 배경 음악은 일본판에 사용된 코나미의 특수 음원 칩(VRC VI) 대신 NES 표준 음원을 사용하도록 편곡되면서 곡의 길이가 약간 짧아졌다.[39] 또한 서양판에서는 최종 스테이지에서 보스에게 패배했을 경우, 일본판과 달리 스테이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므로 체감 난이도가 상승했다.[39]

참조

[1] 웹사이트 Akumajō Densetsu https://www.konami.c[...] Konami 2020-08-02
[2] 웹사이트 VRC6 https://www.nesdev.o[...] 2023-05-11
[3] 웹사이트 Akumajo Dracula Famicom Best музыка из игры https://www.game-ost[...] 2023-05-11
[4] 웹사이트 Castlevania III: Dracula's Curse/Regional Differences - The Cutting Room Floor https://tcrf.net/Cas[...] 2023-05-11
[5] 웹사이트 Konami Collector's Series: Castlevania & Contra http://www.gamefaqs.[...] 2015-06-16
[6] 웹사이트 Tom Dubois Talks About Creating Some Of The Most Iconic Boxart Of The NES And SNES Eras https://www.nintendo[...] 2023-12-17
[7] 웹사이트 Konami's NES Box Art: So Good, So Bad https://www.vg247.co[...] 2023-12-17
[8] 웹사이트 Browse All Games at Nintendo :: Games http://www.nintendo.[...] 2011-12-01
[9] 웹사이트 VC 悪魔城伝説 https://www.nintendo[...]
[10] 웹사이트 Nintendo - Castlevania III: Dracula's Curse http://www.nintendo.[...] 2014-07-01
[11] 웹사이트 Wii U|悪魔城伝説|Nintendo http://www.nintendo.[...] 2014-08-18
[12] 웹사이트 Nintendo - Castlevania III: Dracula's Curse http://www.nintendo.[...] 2014-07-01
[13] 웹사이트 Castlevania III: Dracula's Curse https://www.nintendo[...]
[14] 웹사이트 The 'Castlevania Anniversary Collection' Is Now Out And It Is Gloriously Good https://www.forbes.c[...]
[15] 웹사이트 Castlevania III: Dracula's Curse - Review http://www.allgame.c[...] 2022-05-13
[16] 간행물 Castlevania III: Dracula's Quest https://archive.org/[...] 2021-08-26
[17] 간행물 Bi-Weekly Famicom Tsūshin (Famitsu) - No. 91 https://archive.org/[...] 2021-08-01
[18] 간행물 100 Best Games of All Time Ziff Davis 1997-11
[19] 간행물 Nintendo Power – The 20th Anniversary Issue! Future US 2008-08
[20] 간행물 Ranking The Castlevania Bloodline http://www.gameinfor[...] 2013-12-05
[21] 웹사이트 Best NES Games of all time http://www.gamesrada[...] 2013-12-05
[22] 웹사이트 Happy 25th Birthday Castlevania: The Ten Best Games in the Series 2013-12-06
[23] 웹사이트 Top 100 NES Games http://www.ign.com/t[...] 2020-07-29
[24] 웹사이트 Symphony Of The Night Designer IGA Talks Bloodstained's Delay And His Favorite Castlevania https://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17-07-25
[25] 웹사이트 Warren Ellis planning on three Castlevania films http://www.joystiq.c[...] Joystiq 2008-07-13
[26] 웹사이트 Super Violent 'Castlevania' Animated Series Coming from Producer Adi Shankar http://collider.com/[...] 2015-08-26
[27] 웹사이트 Castlevania Headed To Netflix in 2017, From Warren Ellis and Adi Shankar http://www.usgamer.n[...] 2017-02-08
[28] 웹사이트 Here's What's New to Netflix in March 2020: Castlevania Season 3, More Movies, TV Shows, and Originals https://www.gamespot[...] 2020-03-05
[29] 웹사이트 Castlevania: Season 4 Review https://www.ign.com/[...] 2022-07-12
[30] 간행물 5月10日号特別付録 ファミコンロムカセット オールカタログ 徳間書店 1991-05-10
[31] 웹사이트 Castlevania III: Dracula's Curse(NES) http://www.vgchartz.[...] 2014-11-29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문서 本作の説明書より。
[37] 웹사이트 KONAMI、iモード「悪魔城伝説」を配信。ファミコン用「ドラキュラ」シリーズ第3弾 https://game.watch.i[...] インプレス 2019-11-10
[38] 웹사이트 Wii Uバーチャルコンソール4月16日配信タイトル ― 『ミスティッククエスト』『悪魔城伝説』『グラディウス(PCE版)』『ニュートピア』の4本 https://www.inside-g[...] イード 2019-11-10
[39] 웹사이트 Castlevania III - Schnittberichte.com (Detaillierte Fassungs- und Zensurinformationen zu DVD, Blu-ray, Games ...) http://www.schnittbe[...]
[40] 웹사이트 Castlevania III: Dracula's Curse Review http://allgame.com/g[...] Allgame 2012-12-06
[41] 웹사이트 Castlevania III: Dracula's Curse for Wii (2008)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8-04-15
[42] 웹사이트 Castlevania III: Dracula's Curse for NES (1989)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8-04-15
[43] 웹사이트 The Video Game Critic's NES Reviews http://videogamecrit[...] videogamecritic.net 2012-12-06
[44] 간행물 アスキー 1990-01-05
[45] 웹사이트 悪魔城伝説 [ファミコン] http://www.famitsu.c[...] KADOKAWA 2015-07-05
[46] 웹인용 Konami Collector's Series: Castlevania & Contra http://www.gamefaqs.[...] gamefaqs.com 2015-06-16
[47] 웹인용 悪魔城伝説 [ファミコン] /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2018-07-24
[48] 저널 Nintendo Power – The 20th Anniversary Issue! Future US 2008-08
[49] 웹인용 Warren Ellis planning on three Castlevania films http://www.joystiq.c[...] Joystiq 2008-07-13
[50] 웹인용 Super Violent ‘Castlevania’ Animated Series Coming from Producer Adi Shankar http://collider.com/[...] 2015-08-26
[51] 웹인용 Castlevania Headed To Netflix in 2017, From Warren Ellis and Adi Shankar http://www.usgamer.n[...] 2017-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